《어느 날 밤에 생긴 일(It Happened One Night, 1934)》 : 고전 로맨틱 코미디의 시작
1934년에 개봉한 미국 프리-코드 시대의 로맨틱 코미디 영화 《어느 날 밤에 생긴 일(It Happened One Night, 1934)》은 프랭크 카프라(Frank Capra)가 감독하고 공동 제작한 작품이다. 이 영화는 샘 스태글(Samuel Hopkins Adams)의 1933년 단편 소설 『나이트 버스(Night Bus)』를 로버트 리스킨(Robert Riskin)이 각색한 스크린플레이를 바탕으로 한다. 클라크 게이블(Clark Gable)이 능글맞은 기자 피터 원(Peter Warne) 역을, 클로데트 콜베르(Claudette Colbert)가 세상 물정 모르는 상속녀 엘리 앤드루스(Ellie Andrews) 역을 맡아 환상적인 호흡을 보여준다.
![]() |
《어느 날 밤에 생긴 일(It Happened One Night, 1934)》 |
이 영화는 영화사에서 매우 독특하고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아카데미 시상식의 가장 중요한 5개 부문인 작품상, 감독상, 남우주연상, 여우주연상, 각본상(‘빅 파이브’)을 최초로 모두 수상한 단 세 편의 영화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이는 1934년 7월 ‘헤이즈 코드(Hays Code)’의 엄격한 시행 직전에 개봉하여 ‘프리-코드’ 영화로서의 자유로운 분위기를 담고 있으며, 스크루볼 코미디(Screwball Comedy) 장르의 효시로 평가받는다. 1993년에는 미국 국립영화등기소(National Film Registry)에 보존 작품으로 선정되며 문화적, 역사적, 미학적 가치를 인정받았다.
1. 사랑과 모험이 펼쳐진 예측 불허의 여정 : 상세 줄거리
영화는 부유한 월스트리트 상속녀인 엘리 앤드루스가 자신의 아버지 알렉산더 앤드루스(Alexander Andrews)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멋진 비행사 킹 웨슬리(King Westley)와 몰래 결혼하는 것으로 시작된다.
1) 반항적인 상속녀의 탈출
엘리의 아버지 알렉산더는 웨슬리가 엘리의 돈을 보고 결혼했다고 판단하여, 엘리를 플로리다에 있는 자신의 요트에 가둬두고 변호사들을 통해 혼인 무효를 준비한다. 그러나 엘리는 아버지의 감시를 피해 요트에서 탈출하여 육지로 헤엄쳐 나오고, 킹 웨슬리와 재회하기 위해 뉴욕으로 가는 그레이하운드 버스에 몸을 싣는다. 알렉산더는 엘리를 찾기 위해 1만 달러(2024년 기준 약 23만 5천 달러에 해당하는 거금)의 보상금을 내걸고 언론에 대서특필되면서 엘리의 탈출은 전국적인 뉴스가 된다.
2) 까칠한 기자와의 운명적 만남
엘리는 버스 안에서 해고된 지 얼마 안 된 거칠지만 매력적인 기자 피터 원을 만난다. 피터는 그녀를 즉시 알아보고, 특종 기사를 쓰는 대가로 엘리가 킹 웨슬리에게 갈 수 있도록 돕겠다고 제안한다. 엘리는 처음에 피터를 싫어하지만, 피터가 계속해서 그녀를 돕자 마지못해 그의 제안을 받아들인다. 피터는 엘리의 여비를 빌리고, 그가 가진 얼마 안 되는 돈을 마구 쓰는 엘리를 보며 경악한다. 그는 엘리가 자립심이 부족하고 세상 물정을 전혀 모른다는 사실을 깨닫는다.
3) ‘여리고의 벽’과 예상치 못한 동행
피터는 엘리가 자신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침실을 반으로 나누는 ‘여리고의 벽(Walls of Jericho)’이라는 담요를 설치한다. 그들은 때로는 다투고, 때로는 서로를 도우며 뉴욕으로 향하는 길을 함께한다. 히치하이킹을 시도하다가 실패하고, 한밤중에 농부 가족의 집에서 신세를 지기도 하며, 강도를 만나기도 한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두 사람은 서로에 대한 오해를 풀고, 점차 가까워진다. 피터는 엘리에게 기자가 되는 방법을 알려주기도 하고, 그녀를 배려하며 보살펴준다.
4) 점차 깊어지는 마음의 변화
어느 날 밤, 강도 사건 이후 피터가 잠시 자리를 비운 사이, 엘리는 피터에게 깊은 감정을 느끼기 시작한다. 피터가 자신을 떠났다고 오해한 엘리는 경찰에 신고하고 아버지에게 전화를 건다. 곧바로 그녀의 아버지가 보낸 요원이 엘리를 찾아온다. 피터가 돌아오고, 엘리는 자신의 오해를 알게 되자 크게 당황하지만, 이미 상황은 돌이킬 수 없게 된다. 엘리의 아버지는 그녀의 순정함과 행복을 진정으로 생각하는 피터의 모습에 감명을 받지만, 피터는 자신이 배신당했다고 생각하고 실망한 채 떠난다.
5) 오해와 진실, 그리고 행복한 결말
엘리는 킹 웨슬리와의 결혼식을 다시 진행하려 하지만, 그녀의 마음은 이미 피터에게로 향해 있었다. 그녀는 결혼식 도중 주저하고, 이를 본 알렉산더 앤드루스는 그녀의 진심을 눈치챈다. 알렉산더는 피터를 찾아가 피터가 진정으로 엘리를 사랑하고 있음을 확인하고, 웨슬리와의 혼인을 무효화하기 위한 모든 서류를 작성했음을 밝힌다.
결국 엘리는 결혼식장을 뛰쳐나와 피터에게로 달려간다. 피터와 엘리는 여리고의 벽이 세워졌던 여관 방에서 다시 만난다. 모든 오해가 풀리고 두 사람은 서로의 사랑을 확인한다. 이들은 함께 결혼식을 올리고, 영화는 피터가 '여리고의 벽'을 상징하는 담요를 무너뜨리는 장면으로 마무리된다. 이는 두 사람 사이의 모든 장벽이 허물어졌음을 의미하며, 이들이 진정한 사랑을 찾았음을 보여준다.
2. 개성과 매력으로 빛나는 인물들 : 배우와 캐릭터 분석
- 피터 원(Peter Warne)
배우 : 클라크 게이블(Clark Gable, 1901-1960)
신문사의 재능 있는 기자였지만 해고당한 후 특종을 잡기 위해 엘리와 동행한다. 처음에는 엘리의 버릇없음에 짜증을 내지만, 그녀의 순수함과 매력에 점차 빠져든다. 거칠고 시니컬한 겉모습과 달리, 따뜻하고 정의로운 내면을 지닌 인물이다. 이 영화로 아카데미 남우주연상을 수상했다. - 엘리 앤드루스(Ellie Andrews)
배우 : 클로데트 콜베르(Claudette Colbert, 1903-1996)
부유한 월스트리트 거물의 버릇없는 딸. 세상 물정을 모르고 어리광을 부리지만, 피터와의 여정을 통해 자립심과 진정한 사랑을 깨닫고 성장한다. 피터와의 티격태격 로맨스를 통해 발랄하고 사랑스러운 매력을 발산한다. 이 영화로 아카데미 여우주연상을 수상했다. - 알렉산더 앤드루스(Alexander Andrews)
배우 : 월터 코널리(Walter Connolly, 1887-1940)
엘리의 아버지이자 월스트리트의 거물. 딸의 행복을 진정으로 위하는 마음과 함께, 딸의 연인을 날카롭게 통찰하는 현명함을 지닌 인물이다. 피터의 진심을 알아보고 딸의 행복을 위해 적극적으로 돕는 모습을 보인다. - 킹 웨슬리(King Westley)
배우 : 제임슨 토마스(Jameson Thomas, 1889-1939)
엘리의 첫 남편. 매력적인 비행사였지만, 사실은 엘리의 부를 노린 기회주의적인 인물이다. 짧게 등장하지만 갈등의 시작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 히치하이킹 가수(Singing Hitchhiker)
배우 : 앨런 헤일 Sr.(Alan Hale Sr., 1892-1950)
엘리와 피터가 히치하이킹을 시도할 때 만나는 유쾌한 인물. 버스와 닭을 동시에 운전하며, 피터가 차를 강탈당할 위기에 처했을 때 그들을 돕는 역할을 한다.
3. 영화의 역사적 의미와 비평적 평가
《어느 날 밤에 생긴 일》은 1934년 2월 22일 개봉했다. 제작비 32만 5천 달러를 투입하여 전 세계적으로 250만 달러의 수익을 기록하며 상업적으로 큰 성공을 거두었다. 이 영화의 성공은 경제 대공황 시대에 관객들에게 잠시나마 웃음과 로맨스를 선사하며 큰 위안을 주었다.
이 영화는 제7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작품상, 감독상(프랭크 카프라), 남우주연상(클라크 게이블), 여우주연상(클로데트 콜베르), 각색상(로버트 리스킨)을 모두 수상하며 역사를 새로 썼다. 이는 1975년 《뻐꾸기 둥지 위로 날아간 새》, 1991년 《양들의 침묵》과 함께 ‘빅 파이브’를 달성한 단 세 편의 영화 중 최초이다.
평론가들은 이 영화를 스크루볼 코미디의 전형으로 평가하며, 재치 있는 대사, 빠른 전개, 주연 배우들의 뛰어난 케미스트리를 극찬했다. 특히 클라크 게이블이 셔츠를 벗는 장면에서 속옷을 입지 않은 것이 당시 남성 속옷 판매량에 큰 영향을 미쳤다는 일화는 영화의 영향력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이다.
영화의 비평적 성공은 물론, 대중적인 인기는 이후 수많은 로맨틱 코미디 영화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엘리트 여성과 서민 남성의 로맨스, 예측 불가능한 우연한 만남, 티격태격하며 사랑이 싹트는 관계 등의 클리셰를 정립하며, 《로마의 휴일(Roman Holiday, 1953)》, 《뜨거운 것이 좋아(Some Like It Hot, 1959)》, 심지어 《스페이스볼(Spaceballs, 1987)》, 《런어웨이 브라이드(Runaway Bride, 1999)》와 같은 후대 영화들에도 영감을 주었다.
4. 대중문화 속 《어느 날 밤에 생긴 일》의 유산
《어느 날 밤에 생긴 일》은 개봉 이후로도 꾸준히 회자되며 고전의 반열에 올랐다. 1962년에 저작권이 갱신되었으며, 현재는 2030년 1월 1일 퍼블릭 도메인으로 전환될 예정이다. 소니 픽처스(Sony Pictures)에 의해 2013년 대대적인 복원 작업이 이루어져 현대의 관객들도 고화질로 이 명작을 감상할 수 있게 되었다.
이 영화는 단순한 오락 영화를 넘어, 경제 대공황 시기의 미국 사회에 희망과 유쾌함을 선사한 문화적 아이콘이 되었다. 또한, 대중문화 전반에 걸쳐 큰 영향을 미치며 ‘여리고의 벽’과 같은 상징적인 이미지를 남기기도 했다. 이는 고전 영화가 어떻게 시대를 초월하여 관객들에게 사랑받고, 이후 예술 작품에 영감을 주는지 보여주는 좋은 예시이다.
결론 : 단순한 로맨틱 코미디를 넘어선 영화 역사상 중요한 이정표
《어느 날 밤에 생긴 일》은 단순한 로맨틱 코미디를 넘어선 영화 역사상 중요한 이정표이다. 당시 시대의 사회적 분위기를 반영하면서도 보편적인 사랑과 성장 이야기를 유쾌하게 풀어내어 세대를 불문하고 많은 이들에게 사랑받는 명작으로 남아있다. 클라크 게이블과 클로데트 콜베르의 빛나는 연기와 프랭크 카프라 감독의 따뜻한 시선은 이 영화를 ‘빅 파이브’ 아카데미상이라는 영예를 넘어, 진정한 의미의 불멸의 고전으로 만들었다. 고전 영화를 통해 시대의 정신을 만나고 싶은 영화 팬이라면, 이 작품은 놓쳐서는 안 될 필수 관람 목록이다.
=-=-=-=-=-=-=-=-=
이미지 출처: Wikimedia Commons | 퍼블릭 도메인(Public Doma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