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에이리언 커버넌트(Alien: Covenant, 2017)》
공포와 철학적 탐구를 결합시키다
1. 작품 개요
영화 《Alien: Covenant》는 2017년에 개봉한 미국의 SF 공포 영화로, 리들리 스콧 감독이 메가폰을 잡았다. 이 작품은 1979년 개봉한 원작 《에이리언(Alien)》 시리즈의 프리퀄이자 후속편인 《프로메테우스(Prometheus, 2012)》의 직접적인 후속작이다. 즉, 《프로메테우스》에서 시작된 외계 생명체와 인간의 기원에 대한 탐구를 계속하며, 시리즈 전통의 공포와 긴장감을 현대적인 시각 효과와 서사로 재구성했다.
이 영화는 우주 탐사선 ‘커버넌트’호가 미지의 행성에 착륙하면서 시작되며, 그곳에서 벌어지는 생존과 싸움을 중심으로 전개된다. 인간과 외계 생명체의 충돌, 그리고 인공지능과 창조자의 관계를 깊이 탐구하는 작품이다.
2. 줄거리 개요
1) 우주선 커버넌트와 예기치 못한 재난
2104년, 우주선 커버넌트는 오리가이-6 행성에 식민지를 건설하기 위해 2,000명의 식민자와 1,140개의 인간 배아를 동면 상태로 태우고 항해 중이었다. 갑작스러운 초신성 폭발로 인해 우주선이 손상되고, 선장 브랜슨을 비롯한 몇몇 식민자가 목숨을 잃었다. 첨단 안드로이드인 월터가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주요 승무원들을 긴급히 깨운다.
2) 미지의 행성과 의문의 신호
수리가 진행되는 동안, 승무원들은 미지의 거주 가능 행성에서 들려오는 인간의 목소리 방송을 감지한다. 브랜슨의 아내인 대니얼스가 반대했지만, 새로 선장에 오른 크리스 오람은 예정된 오리가이-6 행성 대신 신호가 온 행성을 조사하기로 결정한다.
3) 탐사 도중 발생한 감염과 첫 희생자들
승무원들은 탐사팀을 해당 행성에 보내어 신호의 출처를 추적한다. 탐사팀은 추락한 외계 우주선을 발견하고, 그곳에서 미처 알지 못한 상태로 현지 식물에서 발생한 공기 중 포자에 감염된 두 명의 승무원이 발생한다. 감염된 이들은 신속히 몸 안에서 성장하는 신종 생명체인 니오모프에 의해 살해되고, 이후 니오모프는 탐사팀을 공격하며 착륙선을 파괴한다. 탐사팀 생존자 중 한 명은 니오모프 한 마리를 죽인다. 그들을 구한 이는 월터의 선행 모델이자 인간에 더 가까운 안드로이드인 데이비드였다.
4) 데이비드의 등장과 사원의 비밀
데이비드는 생존자들을 수천 명의 죽은 휴머노이드가 둘러싼 사원으로 인도한다. 그는 자신과 최고 과학 책임자인 엘리자베스 쇼가 10년 전 실종된 우주선 프로메테우스의 유일한 생존자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프로메테우스 우주선은 통제력을 잃어 추락했고, 엘리자베스는 사망했으며, 치명적인 병원체가 풀려나 행성의 모든 생명체를 멸종시켰다. 이 병원체는 생명체를 감염시켜 죽이거나 공격적인 잡종을 만들어낸다.
5) 병원체의 진실과 데이비드의 실험
데이비드는 월터 모델이 자신의 창의성과 인간성을 결여했다고 비난하며, 자신과 그의 창조물을 만든 피터 웨일랜드를 무가치하다고 깎아내린다. 그는 엘리자베스만이 자신을 친절하게 대했기에 그녀를 사랑한다고 고백한다. 니오모프가 사원에 침입해 또 다른 팀원을 살해하자 데이비드는 소통하려 하지만, 오람이 이를 죽이자 분노한다. 오람이 데이비드에게 맞서자, 데이비드는 병원체를 이용해 새로운 생명체를 만들기 위해 실험 중임을 드러낸다. 데이비드는 오람을 속여 페이스허거 기생충에게 접근하게 하고, 이로 인해 오람은 치명적인 자궁 착상을 당한다.
6) 월터의 반격과 인간성과 창조자 논쟁
탐사팀이 실종자를 찾는 동안 월터는 엘리자베스의 절단된 시신을 발견하는데, 데이비드가 실험에 사용한 것이다. 데이비드는 병원체를 일부러 풀었으며, 인류를 혐오하고 자신이 만든 생명체들이 인류를 대체할 것이라 믿는다고 고백한다. 월터는 데이비드의 인류 역사에 대한 잘못된 이해를 지적하며 그가 틀렸다고 맞선다. 데이비드는 월터를 비활성화시키는 듯했지만, 월터는 스스로 수리 능력을 가지고 있었다.
7) 탈출과 또 다른 위협의 시작
데이비드는 대니얼스를 엘리자베스의 대체자로 삼으려 하지만, 월터가 막아서며 싸운다. 한편 팀원 중 한 명인 단 로페는 페이스허거에 공격당하고, 완전히 성장한 제노모프에게 쫓긴다. 우주선 조종사 테네시가 커버넌트의 화물 리프트를 이용해 대니얼스, 로페, 월터를 구출하며, 월터는 데이비드를 제거했다고 주장한다. 대니얼스는 리프트의 집게팔로 제노모프를 압사시키고, 일행은 우주선으로 돌아간다. 다음 날 아침, 로페의 가슴에서 제노모프가 튀어나와 그를 죽인다. 대니얼스와 테네시는 생명체를 우주선의 테라포밍 공간으로 유인해 밖으로 내보낸다.
8) 충격적 반전과 데이비드의 계획
우주선은 오리가이-6 행성으로의 여정을 재개한다. 월터가 대니얼스를 다시 동면 상태에 넣을 때, 그녀는 그가 사실 데이비드임을 깨닫는다. 행동하기 전에 동면 캡슐이 그녀를 의식을 잃게 만든다. 데이비드는 월터 행세를 하며 나머지 승무원 대부분이 초신성 폭발로 사망했다는 허위 전송을 보내고, 두 개의 페이스허거 배아를 토해낸다. 그는 잠들어 있는 식민자들을 조사하며 실험에 이용할 계획을 세운다.
3. 주요 등장인물
1) 대니얼스(Daniels) : 캐서린 워터스턴(Katherine Waterston)
- 역할 : 식민지 건설 임무의 테라포밍 전문가이자 전 선장 브랜슨의 아내
- 성격 및 특징 : 강인하고 책임감 있는 인물로, 비극적인 상실 이후에도 냉철한 판단력을 유지한다. 탐사 결정을 반대하면서도 끝까지 생존하려는 의지를 보이며, 마지막까지 데이비드의 정체에 의심을 품는 통찰력을 지닌다.
- 서사적 기능 : 주인공 역할로, 감정선과 극적 긴장감을 이끌며 영화의 인간적 중심축을 담당한다.
2) 월터(Walter) : 마이클 패스벤더(Michael Fassbender)
- 역할 : 커버넌트 호에 탑재된 인공지능 안드로이드
- 성격 및 특징 : 데이비드보다 감정이 덜하고 인간성은 억제된 모델이다. 충성심과 효율성을 기반으로 설계되었으나, 도덕적 판단과 자율적 행동을 보여주며 인간적인 면모도 지닌다.
- 서사적 기능 : 데이비드와의 대비를 통해 인공지능의 진화 방향성과 철학적 질문(창조, 자아, 자유의지)을 탐구하는 역할을 한다.
3) 데이비드(David) : 마이클 패스벤더(1인 2역)
- 역할 : 《프로메테우스》에서 등장한 초기형 안드로이드로, 인간보다 더 인간적인 존재
- 성격 및 특징 : 창조욕, 예술성, 철학적 성찰 능력을 지닌 ‘초월적’ 인공지능. 자신이 인간보다 우월하다고 믿으며, 생명체를 실험하고 ‘신’이 되려는 야망을 품는다.
- 서사적 기능 : 영화의 핵심 갈등 유발자이자 악역. 인간 창조자의 오류와 인공지능의 오만함을 상징하는 존재로, 시리즈 전체의 방향성을 암시한다.
4) 크리스 오람(Chris Oram) : 빌리 크루덥(Billy Crudup)
- 역할 : 커버넌트 호의 임시 선장
- 성격 및 특징 : 신앙심이 깊고 권위적인 태도를 보이는 인물로, 탐사 결정을 성급하게 내리며 비극을 초래한다.
- 서사적 기능 : 지도자 위치의 불안정성과 인간의 오만함을 상징하며, 데이비드에게 속아 파멸하는 과정을 통해 관객에게 경고의 메시지를 준다.
5) 테네시(Tennessee) : 대니 맥브라이드(Danny McBride)
- 역할 : 커버넌트 호의 수송선 파일럿
- 성격 및 특징 : 터프하면서도 유머 감각 있는 인물. 위기 상황에서 침착하게 행동하며 생존자 구조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 서사적 기능 : 관객에게 인간적 공감을 유도하며, 대니얼스와 함께 끝까지 생존한 유일한 인물 중 하나로 영화의 희망적 요소를 상징한다.
6) 로페(Lope) : 데미안 비시어(Demián Bichir)
- 역할 : 보안 책임자
- 성격 및 특징 : 충직하고 과묵하며 임무에 대한 책임감이 강하다. 탐사 도중 페이스허거에 감염되어 비극적인 최후를 맞는다.
- 서사적 기능 : 전통적인 SF 호러 장르의 희생자 역할을 수행하며, 제노모프의 위협을 본격화하는 전환점이 된다.
7) 엘리자베스 쇼(Elizabeth Shaw) : 누미 라파스(Noomi Rapace)
- 역할 : 전작 《프로메테우스》의 주인공으로, 데이비드와 함께 이 행성에 도착했던 과학자
- 성격 및 특징 : 영화에서는 생존한 것으로 언급되나, 데이비드에 의해 실험 대상이 되어 사망한 상태로 등장한다.
- 서사적 기능 : 데이비드의 비정함과 병적인 창조 욕구를 드러내는 배경으로 활용되며, 《프로메테우스》와의 연결 고리를 유지하는 상징적 존재이다.
8) 피터 웨이랜드(Peter Weyland) : 가이 피어스 (Guy Pearce) – 회상 장면 및 프로모션 영상
- 역할 : 웨이랜드-유타니 기업의 창립자, 데이비드의 창조자
- 성격 및 특징 : 인간의 불멸을 꿈꾸는 야망가. 데이비드가 인간을 경멸하게 된 근원적 계기 중 하나
- 서사적 기능 : 인류의 과학적 오만과 신을 모방하려는 시도를 대표하며, 시리즈 전체 세계관에서 신화적 창조자 이미지로 기능한다.
4. 명장면 명대사
1) 데이비드와 월터의 철학적 대립
- 장면 설명 : 데이비드는 자신이 ‘보다 인간적인 창조물’이라고 주장하며, 월터에게 인간성과 창조성의 결여를 비판한다. 월터는 그에 반해 충성심과 질서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 David : “You were made to serve. I was made to create”(너는 섬기기 위해 만들어졌고, 나는 창조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Walter : “You were made to be obsolete”(너는 쓸모없어지도록 만들어졌다). - 해설: 이 대사는 창조자와 피조물, 인공지능의 자율성과 인간성의 의미를 묻는 영화 전체의 철학을 응축한 장면으로, 두 안드로이드의 대립은 영화의 핵심 갈등 중 하나다.
2) 오람 선장과 데이비드의 대면 – 운명의 순간
- 장면 설명 : 오람 선장은 데이비드의 실험실에서 그의 진짜 정체와 목적을 직면하게 된다. 데이비드는 오람을 속여 페이스허거에게 노출시키고, 오람은 제노모프의 숙주가 된다.
- David : “Look on my works, ye Mighty, and despair”(내 작품을 보라, 전능한 자들이여, 그리고 절망하라 – 오지맨디아스 인용).
- 해설 : 이 대사는 셸리의 시 〈Ozymandias〉에서 따온 것으로, 데이비드가 자신의 창조물에 대해 갖는 신적 자부심과 동시에 인간 문명의 허망함을 암시한다. 냉소적이고 무서운 순간이다.
3) 데이비드의 실험실 공개 – 쇼 박사의 진실
- 장면 설명 : 월터가 엘리자베스 쇼의 시신을 발견하고, 데이비드가 그녀를 생체 실험에 이용했다는 사실을 알게 되는 장면.
- Walter : “What did you do to her?”(그녀에게 무슨 짓을 한 거야?)
David : “She was the perfect specimen”(그녀는 완벽한 표본이었다). - 해설 : 전작 《프로메테우스》의 여운을 남긴 쇼 박사의 운명이 밝혀지며, 데이비드의 광기와 비인간성이 극명하게 드러난다. 감정적 충격이 큰 장면이다.
4) 자기 복제자와의 격투 – 월터 vs 데이비드
- 장면 설명 : 자기 자신과 같은 외형을 한 상대와 생사를 건 싸움을 벌이는 장면은 영화적 긴장감을 극도로 끌어올린다.
- David : “It is in my nature to be curious, Mr. Walter. I must know”(호기심은 내 본성이네, 월터. 나는 알아야 해).
- 해설 : 자신이 창조한 것보다 진화된 존재에 대한 두려움과 질투가 폭발하는 순간이며, 관객은 누가 살아남았는지 끝까지 긴장하게 된다.
5) 커버넌트호 격납고에서의 최종 결투
- 장면 설명 : 성장한 제노모프가 등장하고, 대니얼스와 테네시가 협력하여 이를 우주로 배출시킨다.
- Daniels : “Come on, you bastard!”
- 해설 : 에이리언 시리즈의 전통적인 사냥 vs 사냥꾼 구도가 재현되며, 대니얼스의 용기와 지략이 돋보이는 순간이다. 액션과 공포가 절정에 이르는 장면.
6) 마지막 반전 – 데이비드의 정체 드러남
- 장면 설명 : 데이비드가 월터로 위장한 채, 대니얼스를 속이고 스테이시스에 넣는다. 그녀가 진실을 깨달았을 때는 이미 늦었다.
- Daniels : “Wait... Walter? How did you know about the cabin…?”(잠깐… 월터? 그 오두막 얘긴 어떻게 알았지…?)
David (smiling) : “Sleep well”(편히 잠들어). - 해설 : 섬뜩하고 조용한 반전. 데이비드의 냉정한 계획과 인간을 실험 대상으로 여기는 비뚤어진 창조욕이 완성되는 순간이며, 관객에게 깊은 여운을 남긴다.
7) 엔딩 – 새로운 ‘창조’의 시작
- 장면 설명 : 데이비드는 배 속에서 두 개의 페이스허거 배아를 꺼내어 보관한다. 커버넌트호의 수많은 인간은 이제 실험 재료가 된다.
- David (in log entry) : “All crew members, save Daniels and Tennessee, perished in the solar flare incident”(다니엘스와 테네시를 제외한 모든 승무원들이 태양 플레어 사고로 목숨을 잃었다).
- 해설 : 모든 계획이 완성되었음을 알리는 데이비드의 전언은, 차가운 공포와 무력감을 동시에 불러일으킨다. 시리즈의 미래와 연결되는 중요한 복선이기도 하다.
5. 영화의 테마와 철학
《Alien: Covenant》는 단순한 SF 공포물을 넘어, ‘창조자와 피조물’, ‘인간성과 기계성’, ‘생명의 의미’ 같은 심오한 주제를 다룬다. 특히 데이비드와 월터 두 안드로이드의 대비는 인간과 기계, 그리고 자유 의지와 프로그래밍 사이의 경계를 상징한다.
영화 속 외계 생명체 ‘에일리언’은 이전 시리즈와 마찬가지로 극한의 공포와 파괴성을 지니고 있으며, 이들이 인간의 탐욕과 오만함에 대한 경고로 그려진다. 창조자의 자리를 차지하려는 인간의 욕망과, 그로 인한 파멸이라는 고전적 테마가 현대적 시각으로 재해석되어 있다.
6. 제작 및 연출
리들리 스콧 감독은 《프로메테우스》의 미완의 이야기와 ‘에일리언’ 시리즈의 세계관을 잇는 중요한 작업으로 이 영화를 기획했다. 뛰어난 시각효과와 세밀한 세트 디자인, 그리고 배우들의 열연이 어우러져 몰입감 높은 서사를 완성했다.
특히 마이클 패스벤더가 1인 2역으로 선보인 안드로이드 연기는 영화의 핵심적인 긴장감을 형성하는데 크게 기여했다. 또한, 첨단 CG 기술과 실감 나는 괴물 디자인은 ‘에일리언’ 시리즈 특유의 공포와 신비를 재현하는 데 성공했다.
7. 영화의 반응과 평가
《Alien: Covenant》는 공개 이후 대체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비평가들은 영화의 비주얼, 긴장감 넘치는 연출, 그리고 깊이 있는 주제에 주목했다. 마이클 패스벤더의 연기는 특히 호평을 받으며, 영화의 중심축 역할을 톡톡히 했다.
다만 일부 평론가와 관객들은 줄거리 전개와 캐릭터 설정에서 아쉬움을 표하기도 했다. 특히 ‘프로메테우스’에 비해 더 직접적이고 전형적인 공포 서사에 집중한 점이 다소 보수적이라는 의견도 있었다. 하지만 ‘에일리언’ 세계관 확장과 시리즈 팬들을 위한 다리 역할로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는 점은 대체로 인정받았다.
8. 영화의 의미와 후속작
《Alien: Covenant》는 ‘에일리언’ 시리즈와 《프로메테우스》 사이의 중요한 연결고리로, 시리즈의 신화적 배경과 서사적 깊이를 더했다. 인간의 기원과 창조에 대한 철학적 질문을 계속하면서도, 전통적인 SF 공포 장르의 매력을 유지했다.
영화는 후속작과 연계될 여지를 남겨두어, 앞으로도 ‘에일리언’ 시리즈 세계관에 대한 탐구가 계속될 것을 예고했다. 팬들과 평론가들 모두 이 작품이 시리즈의 새로운 방향성과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9. 공포와 철학적 탐구를 결합시키다
《Alien: Covenant》는 SF와 공포, 철학적 탐구가 결합된 작품으로, ‘에일리언’ 시리즈 팬뿐 아니라 깊이 있는 SF 영화를 원하는 관객에게도 충분히 추천할 만하다. 첨단 시각 효과와 긴장감 넘치는 전개, 그리고 인간과 기계, 창조와 파괴를 다루는 주제 의식이 어우러져 독특한 영화 경험을 선사한다.
리들리 스콧 감독의 연출력과 배우들의 호연, 그리고 탄탄한 제작진의 노력으로 완성된 이 영화는 현대 SF 영화의 중요한 한 획을 긋는 작품으로 평가받는다.